2025.07.04. 주카자흐스탄대한민국대사관
최근 복수의 카자흐스탄 언론은 2025.6월말-7월초에 걸쳐 카자흐스탄내 약 1,630만명의 개인정보(2011~2024년 범위)*가 유출되었다고 하고, 이 수치는 전 국민의 80%에 해당하는 것으로 카자흐스탄 역사상 최대규모의 유출사례라고 보도하였으며, 카자흐스탄 정부는 합동조사단을 조직하여 현 상황을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유출된 개인정보 범위(카자흐스탄 텡그리뉴스지 보도(6.17.))
– 성명, 성별, 생년월일
– 주민식별번호(IIN)
– 등록 주소 및 실거주지 주소
– 전화번호(휴대폰, 집, 직장)
– 국적, 민족, 시민권 정보
– 일부 의료기관 등록 정보(치과, 폴리클리닉 등) 등
이와 관련, 수사가 진행 중인 현 상황에서 대사관 차원에서 구체적인 유출자 명단 확보가 어려운 가운데 카자흐스탄에 주재 중인 우리국민들의 개인정보도 유출되었을 가능성을 부정하기 어려워 보이며, 이에 카자흐스탄에 계신 우리 국민들께선 금융 등 주요사항에 대한 비밀정보 변경 등 개인보안에 각별히 유의해 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또한, 이와 관련된 스미싱 및 피싱 등 시류에 편승한 범죄가 다발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현지 금융권이나 수사기관, 우리 대사관(총영사관) 등을 사칭하여 개인정보를 요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 주시기 바라며, 이로 인한 사기가 발생한 경우 대사관 및 총영사관에 즉각 제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현재 카자흐스탄 정부는 eGov 포털을 통해 유출된 개인정보 등을 개별적으로 안내 중임을 알려드립니다.
●확인 경로 : e-gov mobile > другие сервис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대사관
			












![📌 [포토단신] 천산 자락에서 쉼을 찾는 사람들, 천산산악회 10월 월례회 개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20251018_1954111024-576사이즈-360x180.jpg)
![📌 [포토단신] 중소기업연합회 10월 월례회 개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중소기업연합회중기연-2025년-10월-월례회-360x180.jpg)











![[단신] 2025년 9월 1일부터 카자흐스탄에서 바뀌는 것들](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8/카자흐스탄에서-2025년-9월-1일부터-바뀌는-것들-360x180.webp)


![[인터뷰] 김대영 오픈헬스케어 카자흐스탄 법인대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김대영-오픈헬스케어-법인-대표-360x180.jpg)







![[주택 매매] 실거주 또는  투자 추천 128평](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7/부동산_주택-128평-3-360x180.jpeg)


![쿠쿠 전기밥솥[판매완료]](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7/쿠쿠전기밥솥-360x180.jpg)

                                
                                
                                
                                








							


















![[인터뷰] 김대영 오픈헬스케어 카자흐스탄 법인대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김대영-오픈헬스케어-법인-대표-120x86.jpg)
주카자흐스탄 대한민국대사관의 유출 사태 안내는 시의적절한 대응으로 보입니다. 1,630만 명(전 국민 80%) 규모의 개인정보(성명, IIN, 주소, 전화번호, 의료 정보 등)가 유출된 이번 사건은 카자흐스탄 역사상 최대 규모로, 정부의 합동조사단 구성은 긍정적입니다. Astana Times 보도처럼 사이버 공격 증가와 AI 발전으로 위협이 커지는 상황에서, 한인들은 eGov 포털 확인과 함께 금융 비밀번호 변경, 2FA 강화, 피싱 주의가 필수입니다.
특히 스미싱 범죄 가능성이 높아 대사관 사칭 연락 시 즉시 제보해야 합니다. 이는 디지털 보안 인식 제고의 계기가 될 수 있으며, 한인 사회도 커뮤니티 워크숍 등을 통해 대처 능력을 높여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