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카자흐스탄이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책임경영(Responsible Business Conduct, RBC) 원칙을 가장 체계적으로 도입한 국가로 평가받았다. Dknews.kz 보도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는 카자흐스탄, 몽골, 우즈베키스탄의 지속가능한 인프라 구축을 위한 RBC 통합 수준을 분석한 것으로, 카자흐스탄은 제도적 기반과 정책 연계 측면에서 가장 높은 성과를 보인 국가로 지목되었다.
OECD는 카자흐스탄이 노동 안전, 환경 현대화, 탈탄소화, 인적 자원 개발, ESG 참여 확대 등 핵심 분야에서 RBC 원칙을 포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2019년부터 시행된 ‘Vision Zero’ 개념과 2024년부터 도입된 디지털 노동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2024~2030년 안전노동 전략은 산업재해 예방과 노동문화 개선에 기여하는 제도적 기반으로 소개되었다.
환경 분야에서는 최적 기술(NDT)을 적용한 기업에 대해 배출세 면제, 투자 보조금 및 기술 자문 제공, 절차 간소화 등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되어 있으며,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대한 세금 감면 및 투자 보조금(최대 30%)도 시행 중이다. 또한 ‘투자 수익을 보장하는 요금제’ 제도를 통해 인프라 및 에너지 분야 투자자에게 예측 가능한 수익 회수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민간 자본 유치를 촉진하고 있다.
인적 자원 개발 측면에서는 2025년을 ‘기술 인재 집중 육성의 해’로 지정하고, 에너지·건설·수자원·운송 분야에서 직업교육과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집중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는 인프라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기반으로 작용하고 있다.
보고서는 또한 국부펀드 ‘삼룩-카즈이나(Samruk-Kazyna)’의 역할을 높이 평가했다. 해당 펀드는 국영기업의 ESG 전환을 촉진하는 핵심 기관으로, 장기 계약을 통한 국내 공급망 강화, 중소기업 참여 확대, 인프라 프로젝트의 국산화 등을 통해 지역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있다. 아울러 인권, 반부패, 환경관리, 리스크 평가 등 기업 윤리 기준을 내재화하고, 순이익의 최소 7%를 사회공헌에 재투자하는 구조도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OECD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카자흐스탄 정부에 RBC 정책의 범정부적 확대를 권고하며, 배출권 거래제 도입, 지속가능한 조달 기준 적용, 시민사회 참여 확대, 지속가능 금융 활성화 등을 추가 과제로 제시했다. 특히 삼룩-카즈이나 모델을 국영기업 전반에 확산시킬 경우, 카자흐스탄의 경제 모델은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평가 결과는 카자흐스탄이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책임경영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특히 ESG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제도적 접근이 강화됨에 따라, 현지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도 공공조달, 인프라 투자, 사회공헌 분야에서 협력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