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정부가 전동킥보드의 보행로 주행을 제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푸트니크 보도에 따르면, 최근 교통안전 전문가들과 도시계획 관계자들이 참여한 회의에서 전동킥보드의 운행 규칙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이 발표되었으며, 그중 보행자 안전을 위한 보도 주행 금지 조항이 핵심으로 떠올랐다.
현재 카자흐스탄에서는 전동킥보드 관련 법률이 명확하지 않아, 보행로와 자전거도로, 차도 등에서 혼재된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보행자와의 충돌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알마티와 아스타나 등 대도시에서는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스푸트니크는 “보행자 안전을 위협하는 전동킥보드의 무분별한 운행을 막기 위해, 법적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전했다.
논의된 제안에는 보행로 주행 금지 외에도, 전동킥보드 운행 가능 구역의 명확한 지정, 속도 제한, 야간 조명 장치 의무화, 보험 가입 의무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보행자 밀집 지역에서는 운행 자체를 금지하거나, 킥보드를 끌고 이동하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정부는 이와 관련해 교통법 개정안을 준비 중이며, 향후 공청회와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스푸트니크는 “이번 제안은 단순한 규제 강화가 아니라, 도시 내 이동 수단의 안전성과 질서를 확보하기 위한 구조적 접근”이라고 설명했다.
전동킥보드 공유 서비스 업체들도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나서고 있다. 일부 업체는 이미 속도 제한 기능을 도입했으며, GPS 기반으로 운행 가능 구역을 자동 제어하는 기술을 시험 중이다. 또한, 사용자 교육 콘텐츠를 강화하고,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계약 조항도 개정하고 있다.
스푸트니크는 “전동킥보드 규제는 단기적 조치가 아닌, 도시 환경과 시민 안전을 고려한 장기적 전략”이라며, 향후 법안 확정과 시행 과정에서 시민 참여와 기술적 보완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