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16일 카자흐스탄 알마티에서 ‘2025 CIS지역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를 열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변화된 무역환경 속에서 중앙아시아 및 코카서스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수출 교두보를 구축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회의에서 “CIS지역은 유라시아를 잇는 지정학적 요충지로, 공급망 재편 시기에 경제안보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거점”이라며, “KOTRA는 민첩하게 기회를 포착하고 미래에 대비하는 글로벌 파수꾼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는 CIS 7개국 10개 무역관장이 참석했으며, △중앙아시아에 한국형 비즈니스모델 확산 △코카서스 3국 시장 진출 확대 △러시아 재진출 전략 등 다양한 의제가 논의됐다.
중앙아시아는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회원국 간 무관세 혜택, 높은 한류 친화도, 젊은 소비층을 강점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지역이다. KOTRA는 몽골·동탄지역(‘몽탄’)에서 성공한 편의점, 프랜차이즈, 바이오 분야의 사례를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지로 확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류박람회, 대형 유통망 입점 등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SOC 인프라와 전력현대화 프로젝트에 대한 참여 확대 역시 주요 전략 중 하나다. 코트라는 시장조사 및 발주처 네트워킹을 통해 장비 및 기자재 공급 등 서브 파트 참여 확대도 지원한다고 밝혔다. 특히 키르기스스탄에는 공동물류센터를 신설해 기업의 수출 기반을 넓히기로 했다.
코카서스 3국(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아르메니아)은 ‘미개척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KOTRA는 한국과 경제동반자협정(EPA)를 체결한 조지아에 트빌리시 무역관을 신설하여 시장 접근성을 높이고, 현지 정부의 주요 정책인 ‘의료 선진화 및 인프라 개선’을 겨냥해 단기 수출 성과를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리셋 비즈니스 전략도 병행된다. 러·우 사태 이후 철수했던 외국 기업들이 재진입을 모색하는 가운데, KOTRA는 ‘러·우 사태 비상대책반’ 운영, 시장 재진입 전략 마련, ‘리셋 비즈니스 인 CIS’ 설명회 및 상담회 개최 등으로 복합 위기 대응과 신북방 협력 강화를 병행하고 있다. 또한 북극항로 진출거점 육성을 위한 항만·해운·물류 기업 지원도 확대할 예정이다.
강경성 KOTRA 사장은 “CIS지역은 수출 교두보로서의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우리 기업의 진출과 수출 확대에 제한적인 측면이 있었다”며, “KOTRA는 수출시장 다변화의 전략적 요충지인 CIS 지역에 대한 우리 기업의 안정적인 비즈니스와 새로운 기회 창출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 [포토단신] 천산 자락에서 쉼을 찾는 사람들, 천산산악회 10월 월례회 개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20251018_1954111024-576사이즈-360x180.jpg)
![📌 [포토단신] 중소기업연합회 10월 월례회 개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중소기업연합회중기연-2025년-10월-월례회-360x180.jpg)











![[단신] 2025년 9월 1일부터 카자흐스탄에서 바뀌는 것들](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8/카자흐스탄에서-2025년-9월-1일부터-바뀌는-것들-360x180.webp)


![[인터뷰] 김대영 오픈헬스케어 카자흐스탄 법인대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김대영-오픈헬스케어-법인-대표-360x180.jpg)







![[주택 매매] 실거주 또는  투자 추천 128평](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7/부동산_주택-128평-3-360x180.jpeg)


![쿠쿠 전기밥솥[판매완료]](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7/쿠쿠전기밥솥-360x180.jpg)

                                
                                
                                
                                








							


















![[인터뷰] 김대영 오픈헬스케어 카자흐스탄 법인대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김대영-오픈헬스케어-법인-대표-120x86.jpg)
KOTRA의 ‘2025 CIS지역 무역투자확대전략회의’는 중앙아시아와 코카서스를 수출 교두보로 삼는 전략적 전환을 보여줍니다. 러·우 사태 이후 공급망 재편 속에서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의 EAEU 무관세 혜택과 한류 친화도를 활용한 편의점, 바이오 모델 확산은 한국 기업에 큰 기회입니다. 키르기스스탄 공동물류센터 신설과 조지아 트빌리시 무역관 개설은 시장 접근성을 높이는 실질적 방안입니다.
코카서스 3국의 미개척 시장 공략은 의료·인프라 분야 단기 성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러시아 재진출 전략과 북극항로 지원도 경제안보 강화에 기여할 것입니다. 다만, 지정학적 리스크 관리와 현지 네트워크 구축이 성공의 관건입니다. 한인 기업들이 KOTRA의 지원을 활용해 CIS 지역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길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