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정부가 국가 차원의 암호화폐 보유고를 조성할 계획을 발표하며, 디지털 자산을 둘러싼 규제 체계 정비와 금융 안정성 확보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다. 24.kz 보도에 따르면, 디지털 개발부는 이 같은 계획을 통해 암호화폐 산업을 제도권 내로 편입시키고, 국가 경제의 전략적 자산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카자흐스탄이 암호화폐 산업의 제도화와 기술 인프라 확충을 통해 디지털 경제의 새로운 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현지 매체 24.kz는 최근 보도를 통해, 암호화폐 채굴과 거래를 둘러싼 국가 차원의 규제 강화와 동시에 민간 기업의 기술적 진보가 병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2022년부터 암호화폐 채굴업체에 대한 등록제를 도입하고, 전력 사용량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등 제도적 틀을 마련해왔다. 이러한 조치는 무분별한 채굴로 인한 전력난을 방지하고, 산업을 국가 통제 하에 두기 위한 목적에서 시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암호화폐 채굴에 사용되는 전력의 상당 부분이 석탄 화력발전에 의존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정부는 에너지 효율성과 환경 영향을 동시에 고려한 정책을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카자흐스탄 정부는 암호화폐의 실생활 적용 가능성을 시험하기 위한 ‘크립토시티(CryptoCity)’ 시범 구역 조성 계획도 추진 중이다. 24.kz 보도에 따르면, 이 시범 구역은 암호화폐를 활용한 상품 및 서비스 결제가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디지털 금융 생태계의 실증적 모델로 기능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통해 블록체인 기술의 실용성을 검증하고, 글로벌 기술 기업과 투자자 유치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편, 민간 부문에서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24.kz는 인터뷰를 인용해, 현지 IT 기업들이 암호화폐 지갑, 스마트 계약, 디지털 자산 관리 플랫폼 등 다양한 응용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일부는 이미 국제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러한 기술력은 카자흐스탄이 단순한 채굴 중심 국가에서 벗어나,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경제의 허브로 도약하려는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또한, 암호화폐 거래소 운영에 있어서도 정부의 감독이 강화되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국립은행은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라이선스 발급과 자금세탁 방지 규정 준수를 엄격히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투자자 보호와 금융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조치는 카자흐스탄이 암호화폐 산업을 단순한 수익 창출 수단이 아닌, 국가 경제의 전략적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24.kz는 전문가의 발언을 인용해, “카자흐스탄은 규제와 혁신의 균형을 통해 암호화폐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카자흐스탄, ‘크립토시티’ 시범 구역 조성 계획 발표‘ 기사를 게재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