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7일 카자흐스탄 국립은행 통화정책위원회는 기준 금리를 연 16.5%로 인상했다고 Zakon.kz에서 보도했다.
카자흐스탄 국립은행은 실제 데이터 분석, 업데이트된 예측, 인플레이션 위험 균형에 대한 평가를 고려하여 이러한 결정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현재 가격 상승률이 높은 수준에 이른 상황에서 눈에 띄게 완화된 통화 여건은 인플레이션 폭등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조치를 필요로 했다.
모든 인플레이션 지표에서 증가 추세가 나타났다. 연간 물가상승률은 2월에 9.4%로 가속화되었다. 모든 구성 요소에서 가격 증가율이 가속화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가장 큰 원인은 서비스 가격의 높은 증가 때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월 월별 물가상승률은 역사적 평균을 크게 넘어설 정도로 크게 증가했다. 월별 기본 및 계절 조정 인플레이션 지표(2월 기준 연간 기준으로 각각 14.2% 및 16.9%)는 지속적인 재정 자극과 소비자 대출의 지속적인 과열(2024년 결산 결과 전년 대비 33.5%) 속에서 내수 수요로부터의 압박이 상당히 증가했음을 나타낸다. 동시에 2월 인구의 물가 상승률 예상치는 다시 13.7%로 상승했다.
러시아의 인플레이션이 더욱 가속화되면서 외부 부문의 가격에 대한 압박이 커졌다. 세계 식량 가격은 2024년 12월 이후 다소 하락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현재 전 세계 가격 상승률은 계속적으로 지속되고 되고 있다. 인플레이션과 지정학적 위험이 여전히 남아 있으며, 이로 인해 통화 정책이 더욱 긴축되고 각국의 중앙은행의 입장도 강경해지고 있다.
기준 시나리오에서는 브렌트 원유 가격은 예측 기간이 끝날 때까지 배럴당 평균 70달러로 유지된다. 시나리오 조건은 실제 가격 변동과 석유 시장에서 수요를 초과하는 공급이 예상될 때를 고려하여 형성된다.
향후 몇 년간의 인플레이션 예측은 새로운 요소를 고려하여 상향 조정되었다. 2025년에는 10-12%, 2026년에는 9-11%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7년 말까지 제한적인 통화 정책과 계획된 세제 개혁에 따른 재정 자극책 감소로 인해 인플레이션은 5.5-7.5%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준금리에 대한 현재의 결정은 미래에 기준금리를 더 높이 인상이 필요해지는 상황을 막기 위해 내려졌습니다. 이 결정은 중기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목표 수준으로 안정적으로 감소하도록 돌아가는 것에 기여할 것입니다. 낮은 인플레이션을 달성하면 사회 경제적 안정과 금융 시장의 건전성이 보장되고 투자 유치 및 지속 가능한 고품질의 경제 성장의 기반이 될 것입니다.” 카자흐스탄 국립은행이 보도했다.
/자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