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NATO를 통해 우크라이나에 패트리엇(Patriot) 방공 시스템을 비롯한 미국산 무기를 지원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유럽 국가들이 구매한 무기를 우크라이나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최고의 군사장비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지금 당장 우크라이나에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고 CNN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 무기 지원은 NATO의 틀을 통해 진행되며, 독일과 노르웨이가 이미 패트리엇 시스템을 우크라이나에 보내기로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산 무기를 우방국들이 구입해 제3국인 우크라이나에 전달하는 방식은, 러시아를 직접적으로 자극하지 않으면서도 군사적 지원 효과를 유지하는 차선책으로 평가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함께 러시아와의 관계 악화 가능성을 염두에 둔 듯,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대해 “매우 만족스럽지 않다”고 언급했다. 그는 “50일 이내에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않으면, 러시아와 그 동맹국들에 최대 10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경제적 압박 수단도 병행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는 최근 피트 헤게스 국방장관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원조를 예고 없이 일방 중단한 뒤, 다시 대통령이 무기 제공을 승인한 일련의 혼선을 수습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CNN은 “헤게스 장관이 백악관과의 협의 없이 군사 지원을 중단한 것이 내부 갈등을 촉발했다”고 보도하며, 대통령과 국방부 사이의 조율 부족을 지적했다.
한편, 미 의회의 리처드 블루멘탈, 린지 그레이엄 상원 의원은 러시아 지원국에 대해 최대 50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새로운 제재법을 추진 중이며, 이 역시 트럼프 행정부의 강경 대응 기조와 맥을 같이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략적 의미: 미국의 정책 급선회와 유럽의 역할 변화
이번 결정은 지난 몇 주간 불확실했던 미국의 우크라이나 정책에 전환점을 마련한 조치로 풀이된다. 헤게스 국방장관의 돌출 행동으로 혼란을 초래했던 상황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군사 지원을 재개하며 강경한 대러 메시지를 분명히 했다. 특히, NATO 회원국들이 미국산 무기를 매입하고 이를 우크라이나에 공급하는 구조는, 미국이 직접 무기를 보내는 방식과 달리 우방국에 역할을 분산시키며 집단안보 체계 강화라는 정치적 메시지를 내포한다.
이 같은 전략은 미국이 전면에 나서기보다 유럽 국가들을 통해 ‘우회적 무기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트럼프 행정부 특유의 비용 효율성과 정치적 유연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CNN은 이 과정을 통해 미국이 “무기 생산국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면서도, 전쟁의 직접적 당사자는 되지 않으려는 이중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현지 반응: 환영 속 불신도 여전
정치권과 군사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결정이 우크라이나에 실질적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이 많다. 특히 우크라이나가 절실히 요구해 온 패트리엇 시스템은 러시아의 미사일과 드론 공격에 효과적인 방어 수단으로, 전황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지속성과 예측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상존한다. 일방적인 무기 지원 중단과 갑작스러운 재개 결정은 백악관 내부 조율의 부재를 드러낸 것으로 평가되며, 이에 따라 동맹국들이 미국의 정책을 신뢰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CNN 역시 “정책의 급변은 국제적 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내 일부 의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표를 환영하면서도, “미국의 국제적 리더십은 일관성과 투명성에서 나온다”며 향후 무기 지원 결정 과정의 제도화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