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TRA 알마티 무역관은 2025년 9월 기준 카자흐스탄의 주요 경제 지표와 한국과의 교역 동향, 알마티 지역 통계를 담은 월간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의 실질 GDP 성장률은 5.4%로 전년 대비 상승했으며, 명목 GDP는 2,818억 달러를 기록했다.
인구는 2,080만 명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으며, 1인당 GDP는 구매력 기준(PPP)으로 42,574달러, 명목 기준으로는 13,548달러로 집계되었다. 평균 실업률은 4.6%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으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0.8%로 전월 대비 다소 높아졌다. 달러/텡게 평균 환율은 538.95텡게로 전월 대비 1.92% 상승했다.
경상수지는 -81억 달러로 적자를 기록했으며, 무역수지는 167억 달러 흑자였다. 수출은 807억 달러, 수입은 640억 달러로 집계되었다. 대출금리는 평균 21.4%, 중앙은행 기준금리는 16.5%로 유지되며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과의 교역에서는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46.2% 증가한 2억7,472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수입은 50.1% 감소한 2,188만 달러로 나타났다. 주요 수출 품목은 승용차(54.5% 증가), 자동차부품(113.6% 증가), 무선전화기(3,170.9% 증가) 등이었으며, 수입 품목은 원유, 합금철, 우라늄 등이 포함되었다.
카자흐스탄 전체 교역에서는 중국이 최대 교역국으로, 7월 누적 기준 총 181억 달러의 교역액을 기록했다. 한국은 10위권 내에 진입하며 총 18억5천만 달러의 교역 실적을 보였다.
알마티 지역 통계에 따르면 1인당 소비자 지출은 52만8천텡게로 전국 평균을 크게 상회했으며, 국내 교역액 비중도 35.2%로 가장 높았다. 외국인 직접 투자 유입은 2분기 기준 15억8천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30% 감소했으나, 도소매업과 운송·창고업 분야에서는 안정적인 투자 흐름을 유지했다.
한편, KOTRA는 키르기스스탄 경제동향도 함께 발표하며, 한국의 대키르기스스탄 수출이 60.2% 증가한 3억1,915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주요 수출 품목은 승용차, 기타자동차, 화장품 등이었다.
KOTRA가 발표한 자세한 카자흐스탄 경제 동향은 KOTRA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포토단신] 천산 자락에서 쉼을 찾는 사람들, 천산산악회 10월 월례회 개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20251018_1954111024-576사이즈-360x180.jpg)
![📌 [포토단신] 중소기업연합회 10월 월례회 개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중소기업연합회중기연-2025년-10월-월례회-360x180.jpg)











![[단신] 2025년 9월 1일부터 카자흐스탄에서 바뀌는 것들](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8/카자흐스탄에서-2025년-9월-1일부터-바뀌는-것들-360x180.webp)


![[인터뷰] 김대영 오픈헬스케어 카자흐스탄 법인대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김대영-오픈헬스케어-법인-대표-360x180.jpg)







![[주택 매매] 실거주 또는 투자 추천 128평](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7/부동산_주택-128평-3-360x180.jpeg)


![쿠쿠 전기밥솥[판매완료]](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7/쿠쿠전기밥솥-360x180.jpg)



























![[인터뷰] 김대영 오픈헬스케어 카자흐스탄 법인대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김대영-오픈헬스케어-법인-대표-120x8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