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정부가 연말까지 인플레이션을 11% 이하로 억제하기 위한 범정부적 대응에 나선다. 카진폼 보도에 따르면, 올자스 벡테노프 총리는 9월 9일 정부 회의를 주재하며 “물가 불안정이 인플레이션 수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8월 기준 연간 인플레이션율이 12.2%에 달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를 안정화하기 위한 구체적 조치를 각 부처에 지시했다.
총리는 국가경제부를 중심으로 중앙은행, 각 지방정부(아킴), 농업부, 산업부, 에너지부, 무역부, 경쟁보호청 등 관련 기관이 협력해 인플레이션 통제 및 완화 계획을 이행할 것을 명확히 주문했다. 그는 “연말까지 인플레이션을 11% 이하로 유지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강조하며, 각 부처가 실질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카진폼은 이번 지시가 단기적 물가 안정뿐 아니라 중장기적 경제 신뢰 회복을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고 전했다. 특히 식료품·에너지·산업 원자재 가격의 급등이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의 가격 통제 및 유통 구조 개선이 병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알마티를 비롯한 주요 도시에서 활동 중인 한국 교민 기업들은 이번 조치에 따라 유통·물류·소매 가격 정책에 대한 현지 정부의 개입이 강화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식자재나 생활필수품을 수입·판매하는 업체들은 가격 책정과 재고 운용에 있어 행정적 조율이 요구될 수 있으며, 일부 품목에 대한 가격 상한제나 유통 제한이 도입될 경우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물가 안정이 일정 수준 유지될 경우 교민 소비자들의 생활비 부담은 다소 완화될 수 있으며, 중소기업 운영 환경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