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자흐스탄 중앙은행(NBK)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기준 카자흐스탄의 실질임금 상승률이 0%에 머무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콘 보도에 따르면, 이는 최근 2년간 처음으로 실질임금이 전혀 증가하지 않은 사례로, 전문가들 사이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중앙은행은 명목임금이 전년 동기 대비 11.3%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 조정 후 실질임금은 증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는 물가 상승률이 임금 인상폭을 그대로 상쇄했음을 의미하며, 국민의 구매력은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식료품 인플레이션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었으며, 육류, 식물성 기름, 설탕 등 필수 소비재 가격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에서도 구조적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2025년 2분기 기준 고용 인구는 전년 대비 1.1% 증가했으며, 이는 임금근로자 수의 확대와 실업률 감소에 따른 것이다. 반면 자영업자 수는 감소세를 보이고 있으며, 노동 수요 증가가 실질임금 상승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중앙은행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2025년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11~12.5% 수준, 2026년에는 9.5~11.5%로 예상했다. 식료품 중심의 물가 상승과 러시아 루블 강세, 수입품 가격 인상 등이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자콘은 중앙은행이 “물가 상승이 임금 상승을 무력화시키고 있으며, 생활 수준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고 진단했다고 전했다.
중앙은행은 향후 물가 안정과 실질임금 회복을 위한 통화정책 조정과 구조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내비쳤으며, 관련 지표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정책 유연성이 향후 경제 안정성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 [포토단신] 천산 자락에서 쉼을 찾는 사람들, 천산산악회 10월 월례회 개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20251018_1954111024-576사이즈-360x180.jpg)
![📌 [포토단신] 중소기업연합회 10월 월례회 개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중소기업연합회중기연-2025년-10월-월례회-360x180.jpg)











![[단신] 2025년 9월 1일부터 카자흐스탄에서 바뀌는 것들](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8/카자흐스탄에서-2025년-9월-1일부터-바뀌는-것들-360x180.webp)


![[인터뷰] 김대영 오픈헬스케어 카자흐스탄 법인대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김대영-오픈헬스케어-법인-대표-360x180.jpg)







![[주택 매매] 실거주 또는 투자 추천 128평](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7/부동산_주택-128평-3-360x180.jpeg)


![쿠쿠 전기밥솥[판매완료]](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7/쿠쿠전기밥솥-360x180.jpg)































경기는 어렵고 지출 부담은 가중되는데 서민들은 고리 대출로 버티고 있고..참 어려운 일이네요.
카자흐스탄의 실질임금 상승률이 0%에 머무르며, 인플레이션이 임금 상승 효과를 완전히 상쇄했다는 소식은 많은 국민과 교민들에게 깊은 우려를 안겨주는 현실입니다.
명목임금이 11.3%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식료품을 중심으로 한 물가 급등으로 인해 실질적인 구매력은 개선되지 않았다는 점은 생활비 부담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육류, 식물성 기름, 설탕 등 필수 소비재 가격이 급등한 상황에서, 특히 저소득층과 자영업자에게는 체감되는 경제적 압박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동시장에서는 고용 인구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자영업자 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내는 지표로 해석됩니다. 중앙은행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는 점은 향후 금융시장에도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물가 안정과 실질임금 회복을 위한 통화정책 조정이 시급하다는 판단이 필요해 보입니다.
교민 사회에서도 생활비 조정과 사업 운영 전략을 재검토해야 하는 시점이며, 정부의 정책 유연성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실질적인 경제 안정으로 이어지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