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수준에 따른 업데이트된 국가 순위에서 카자흐스탄은 127개국 중 25위를 차지했다. 세계기아지수(Global Hunger Index) 작성 방법론에 따르면, 순위가 높을수록 기아에 시달리는 인구의 비율이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기아지수는 다음 네 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계산된다.
• 적은 칼로리를 섭취하는 국민의 비중(카자흐스탄 2.5% 이하)
• 발육 부진 아동: 만성 영양실조로 인해 나이에 비해 키가 작은 5세 미만 아동의 비율(8.8%)
• 허약 아동: 급성 영양실조로 인해 나이에 비해 키가 작은 5세 미만 아동의 비율(3.2%)
• 아동 사망률: 5세가 되기 전에 사망하는 아동의 비율. 이는 부분적으로 부적절한 영양과 건강에 해로운 환경의 치명적인 조합의 결과이다(카자흐스탄 1%).
기아지수에서 카자흐스탄 위에는 벨로루스, 중국, 코스타리카, 조지아, 우즈베키스탄, 러시아, 우루과이, 아르메니아 등과 같은 국가가 위치하고 있다. 특히 카자흐스탄은 아동 사망률, 아동허약 측면에서 러시아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러시아의 경우 이 수치는 아동 사망률은 0.5% 아동 허약은 2.8%이다. 우즈베키스탄은 카자흐스탄보다 발육 부진(6.5%)과 아동 허약(2.4%) 지표에서 상황이 더 나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소련 국가 중에서 카자흐스탄보다 아래에 위치한 국가에는 몰도바, 아제르바이잔,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이 있다. 순위의 마지막에는 소말리아, 부룬디, 남수단이 있다.
“유럽과 중앙아시아 지역 전체가 2030년까지 기아 수준을 낮추는 과정에 있습니다. 감소는 경제 및 소득 성장에 따른 농업 생산 및 생산성 향상과 식량 안정성 및 접근성의 전반적인 개선에 따른 것입니다. 투르크메니스탄과 타지키스탄은 이 지역 국가 중 기아율이 가장 높은 국가이지만, 타지키스탄은 송금과 농업에 따른 급속한 경제 성장 덕분에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라고 기아지수 작성자는 설명했다.
2000년과 2008년 지수 데이터에 따르면 카자흐스탄은 보통 기아 지역에 있었고 2016년에는 낮은 수준의 기아 지역으로 발전했다.
기아지수 작성자에 따르면 이전 2016년 지수와 비교하면 22개국이 상황이 악화되었으며 20개국에서는 진전이 정체되었다. 피지, 요르단, 리비아, 시리아, 베네수엘라 등 5개국의 상황은 심지어 24년 전보다 더욱 악화되었다.
/포브스













![📌 [포토단신] 천산 자락에서 쉼을 찾는 사람들, 천산산악회 10월 월례회 개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20251018_1954111024-576사이즈-360x180.jpg)
![📌 [포토단신] 중소기업연합회 10월 월례회 개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중소기업연합회중기연-2025년-10월-월례회-360x180.jpg)











![[단신] 2025년 9월 1일부터 카자흐스탄에서 바뀌는 것들](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8/카자흐스탄에서-2025년-9월-1일부터-바뀌는-것들-360x180.webp)


![[인터뷰] 김대영 오픈헬스케어 카자흐스탄 법인대표](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10/김대영-오픈헬스케어-법인-대표-360x180.jpg)







![[주택 매매] 실거주 또는 투자 추천 128평](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7/부동산_주택-128평-3-360x180.jpeg)


![쿠쿠 전기밥솥[판매완료]](https://kazkorean.kz/wp-content/uploads/2025/07/쿠쿠전기밥솥-360x180.jpg)





























